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미도리의 온라인 브랜딩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미도리의 온라인 브랜딩

검색하기 폼
  • 몽땅 보기 (994)
    • PR 2.0 (57)
    • Media 2.0 (66)
    • Corporate Media (106)
    • Online Branding (52)
    • Social Trend (44)
    • Life Journey (229)
    • Best Recipe (88)
    • Culture Story (168)
    • Bookmark (93)
    • My Blog (91)
  • 방명록

Media 2.0 (66)
네이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는 이유

네이버가 올해로 10년째란다. 으엉? 겨우 10년밖에 되지 않았단 말인가? 우리 생활을 빠르게 바꾸고 있는 인터넷이란 정말 역사가 짧구나 그런 생각을 했다. 그간 네이버에 대해 이 블로그에 몇번 글을 쓴 적이 있지만 그리 우호적이진 않았다. 네이버가 잘 못한다기보다는 네이버가 자신들의 '오블리제 노블리주'에 대해 받아들이기를 원했는지 모른다. 우리가 한국 대표기업 삼성에게 깨끗한 기업 윤리와 경영을 요구하듯이 말이다.  2009/06/10 ..

Media 2.0 2009.12.03 15:40
패션계에 부는 트위터 바람

패션계처럼 입소문이 빨리 퍼지는 곳도 드물 것입니다. 유행은 빨리 변하고 그들간의 네트워킹은 긴밀하지요. 특히 파리에서 패션 위크가 열리는 동안 트위터는 단순한 수다를 떠는게 아니라 패션 트렌드에 대한 토론, 감상 공유 토론 공간으로 변모하기도 합니다. 패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사토리얼리스트(thesartorialist.blogspot.com)의 사토리얼리스트의 스캇 슈먼도 트위터(http://twitter.com/S..

Media 2.0 2009.11.19 21:42
원더걸스 미국 진출의 1등 공신은 블로그?

이번주 황금어장 무르팍 도사의 원더걸스 편에서 박진영의 미국 진출의 결정적 계기는 '페레즈 힐튼 닷컴(perezhilton.com)'이라는 미국 블로그 연예 미디어 덕분이라는 내용을 보았다. 한국인 친구가 소개한 영상을 보고 바로 블로그에 올렸는데, 이 블로그에 소개된 이후 유튜브 등을 통해서 '노바디'에 관심을 갖고 '조나스 브라더스'를 제작한 조나스 그룹과 공동 매니지먼트 계약을 맺기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후 빌보드 차트 HOT ..

Media 2.0 2009.11.06 12:17
왜 유독 블로거에게만 엄격한 윤리적 잣대를 들이대는가?

지난 10월 6일 뉴스위크의 기사 하나(Bloggers 'must reveal ties behind endorsements')가 블로고스피어를 시끌하게 하고 있다. 미국 연방 거래위원회(FTC·Federal Trade Commission)는 30년 가까이 유지된 광고주와 상품 리뷰에 관한 규칙을 페이스 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사이트의 영향력이 증가됨에 따라 12월 1일부터 발표된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부터 나온 기사가 드..

Media 2.0 2009.10.08 13:18
대기업은 소셜 미디어에 관심 있나?

지난 4일 전자신문에서 주최하고 조시 버노프가 기조 연설자로 참가한 '온라인 비즈니스 전략 콘퍼런스'에 때맞춰 어제는 때마침 연합뉴스가 시카고 AP를 인용한 기사가 하나 보도되었다.  대기업들, 소셜미디어에 점차 관심 연합뉴스 2009.09.07 오전 11:00 이 기사는 포드나 코카콜라와 같은 글로벌 100대 브랜드의 다국적 기업들이 기업 이미지 개선 등을 위해 점차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에 관심을 갖기 시작..

Media 2.0 2009.09.08 13:16
트위터와 연애의 공통점

내가 트위터를 망설이는 6가지 이유라는 앞의 글에서 JinuJJang님이 댓글로 '가벼운 마음으로 그저 즐겁게'이란 댓글을 보고 생각이 나서 트위터와 연애의 공통점을 몇가지 끄적거려보았다. 일전에 파워블로거와 미스코리아와의 상관 관계에 대한 소고의 2탄이라고나 할까 ㅋㅋ 제목은 트위터와 연애의 공통점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아래 내용은 트위터에 빠진 사람과 연애에 빠진 사람의 공통점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그저 좋아서 한다 연애를 한다고 돈이 나오..

Media 2.0 2009.08.31 13:14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모든 것을 말해주마~

지난 3월 동아 비즈니스 리뷰에 "해외 기업 블로그 엿보기"라는 블로그의 내 글이 실린적이 있었는데 이번달 Special Report가 소셜 미디어 마케팅(Social Media Marketing)이다. 내용이 딱딱한 편이지만 꽤 내실이 있다.   블로그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정작 기업들을 이를 비즈니스에 얼마나 활용하고 있을까. 비용이 적게 든다고 마냥 뛰어들수만도 없는 일. 소셜 ..

Media 2.0 2009.08.29 17:59
내가 트위터를 망설이는 6가지 이유

요즘 블로거들이 포스팅도 뜸하고 댓글도 안달고 다들 어딜 가고 이리 잠잠하나 하고 둘러보면 모두 트위터에 몰려가 있음을 알수 있다. 내가 자주찾던 블로그 중 주니캡(junycap), 민노씨(minoci), 이고잉(egoing), 펄(pariscom), 이누잇(inuit_k) 등등 모두 트위터 광팬이 되어 있다. 마치 플리커라는 새로운 애인이 생겨 조강지처 블로그는 애물단지가 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그렇게 블로그를 사랑한다고 하던 사람들인..

Media 2.0 2009.08.25 13:01
블로거 규제에 대한 미디어의 왜곡

지난 4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의 광고성 상품평에 대한 규제와 관련한 기사 발표 후 미디어에서 지속적으로 블로거 규제에 대한 이야기들의 솔솔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블로거들이 기자 행세를 하여 눈의 가시인데 올타꾸나 여기저기 매체에서 받아쓰고 있는데 내용을 자세히 보니 심히 왜곡되는 것 같아 안타깝다.    [모닝커피] 미(美) '돈 받고 올린 상품평' 규제 ...조..

Media 2.0 2009.06.25 12:22
기자도 아닌 블로거를 기업에서 왜 대우해주나

요즘 홍보팀 일선에서는 참 재미있는 해프닝이 벌어진다. 신제품 발표 행사를 하면 기자들 뿐만 아니라 온라인 매체나 블로거들까지 초청하는 것이 흔한 모습이 되었다. 불과 1~2년 사이의 변화다. 보통 IT업계는 기자 뿐 아니라 온라인 뉴스 기자, 블로거들을 다같이 같은 시간에 행사를 하면 한번에 치루면 편하지만 이런 기자들의 따가운 눈초리때문에 보통 시간을 나눠서 1부와 2부로 진행한다. (하긴 기자들 간에도 메이저, 마이너 자리 구분하라는..

Media 2.0 2009.06.15 12:55
네이버에는 왜 영향력 블로그가 없을까

요즘 네이버가 변하고 있습니다. 아니 그런 것처럼 보이죠. 상업적인 콘텐츠에 가차없는 철퇴를 내리던 네이버가 기업의 상업적 블로그 개설을 허용하고, 개인 블로그에게는 위젯을 허용하고 광고를 달도록 해주고 개인 브랜딩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 주소까지 연결가능토록 했습니다. 네이버는 한국 인터넷 검색시장의 77%라는 막강한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고 블로그 인구도 1,800만명으로 가장 많습니다. 이글루, 티스토리 등을 포함한 독립형&nbs..

Media 2.0 2009.06.10 07:08
내가 태어난 날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나이가 들수록 지나간 역사에 관심이 많아진다. 역사는 순환하며, 과거의 역사를 통해 오늘의 교훈을 얻는다는 말은 더 이상 진부한 말로 다가오지 않는다. 내가 몇 년 전인가 사내홍보를 담당했을 적에 사보관련 기획 아이디어가 고갈되면 자료실로 가서 아주 옛날 사보를 뒤적거려보곤 했다. 내가 참신하다고 생각한 기획이 그 속에서 모두 반복되고 있는걸 보고 아연실색했던 기억이 난다. 내가 생각했던 것은 남들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은 ..

Media 2.0 2009.05.11 22:05
균형을 잃은 신문과 방송은 존재 의미가 없다

오늘 네이버 메인의 한 기사가 하나 눈길을 끈다. [나도원의 '대중음악을 보다'] 윤도현에서 이하나로, 그리고 유희열로 그냥 일반 연예기사인가해서 클릭했더니 러브레터 진행자 교체 이야기다. 제작비 절감이라는 이상한 명분으로 촛불 시위에 앞장 선 윤도현을 하차시키더니 이하나를 잠깐 거쳐 정치색이 없는 유희열을 데려왔다. 이하나는 확실히 꿔다본 보리자루였다.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윤도현에 버금가는 뮤지션을 데려올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 대안..

Media 2.0 2009.04.11 05:59
신문의 날, 신문의 위기

오늘은 53회 신문의 날이다. 온라인에 배포 플랫폼을 빼앗기고 컨텐츠의 신뢰도도 추락하고 있는 신문들의 구애 작전이 애처롭다. 유명인이니 지성인들을 동원해 신문을 읽는 사람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려는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전 국민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하는데 이들은 언제까지 손 맛을 운운하며 종이를 고집할려는지..정말 안쓰럽기까지 하다. 종이가 아닌 콘텐츠의 품질로 경쟁할 때다.  [오늘 신문의 날] 신문에 푹 빠진 청년..

Media 2.0 2009.04.07 22:47
올해 최고의 만우절 조크 - 즐겁게 낚아라

만우절 기사로 온세계가 들썩인다. 즐겁게 낚이면 기분 좋아하는 유럽 사람들과 속았다고 분통을 터트리는 한국인들의 반응이 매우 상반되어서 재미있다. 지난해 중앙일보가 가디언에 낚인걸로 아직도 비아냥거리는 사람들이 있는걸 보면 말이다. 좀 즐겁게 살자구요 우리~~~ 올해 최고의 만우절 조크는 개인적으로 영국 가디언지가 차지한 듯 싶다. 가디언지가 '188년의 잉크 시대'를 마감하고 신문 등 모든 인쇄물을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

Media 2.0 2009.04.03 03:47
오늘 아침 중앙일보 1면을 보고

3월 12일자 중앙일보 1면이 눈길을 끈다. 95년 4월 4일자를 그대로 1면으로 처리해 얼핏보면 신문이 잘못 나온 줄 알겠다. 중앙일보 전면광고인 셈. 아~ 불과 14년전인데 세로쓰기가 이렇게 어색할 수가. 지금은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가로쓰기 전환이 1995년 10월에 되었다는 것도 놀랍다. 일본 문화의 잔재이기도 하지만 오랫동안 세로쓰기에 대한 집착은 미디어의 보수성이 그대로 드러난다.  중앙일보가 이런 충격 광고를 ..

Media 2.0 2009.03.13 06:21
메타 블로그는 무엇으로 사는가

지난 해 하반기 바짝 블로깅을 한 덕분에 올해 들어 겹경사가 많이 들었다. 각종 기고들도 하고 또 메타블로그 랭킹에도 속속 들어서 그간 투자한 시간이 헛되지는 않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노란 딱지를 얻기 위해 내가 그 수많은 불면의 밤을 지샜던가 흑흑..하고 생각하기엔 좀 무리고 ^^ 어차피 나 좋아서 한 일인데 이렇게 '인정'이라는 보상까지 주어지니 기쁘지 않다면 거짓말이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메타 블로그의 잔치에 참석한 뒤..

Media 2.0 2009.03.04 10:00
오바마 취임 연설문은 진짜 누가 썼을까?

내가 블로그에 오바마의 스피치 라이터, 존 파브로의 힘(2008/12/02)에 대해 포스팅하고 며칠 뒤 파브로가 파티에서 술에 취한 채 힐러리의 사진의 가슴 부분에 손을 댄 사진이 문제가 되어 물러났다는 소문이 돌았다. 어제 MBC 9시 저녁 뉴스를 보니 '오바마 자신이 직접 쓴' 취임사에서는 미국 국민들의 책임과 희생을 강조할 것이라고 하더니 오늘 아침 조선일보를 보니 오바마 취임식에 맞춰 조선일보에 다시 존 파브로의 ..

Media 2.0 2009.01.21 09:20
테크크런치가 선언한 '엠바고의 죽음'이 몰고올 파장

지난 연말에 미국의 유명한 블로그 기반 온라인 미디어인 테크크런치(http://www.techcrunch.com/) 에 실린 한 포스트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Death To The Embargo - Tech Crunch(12/17) 첫 마디가 "PR firms are out of control."인걸 보면 그동안 얼마나 이들에게 시달렸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는 한마디로 "PR 담당자들이 지키라는 엠바고 따위는 앞으로 철저히 무시하..

Media 2.0 2009.01.15 19:00
뉴욕 타임즈, 자존심을 깨고 1면 광고 단행

미국 신문의 붕괴가 우리에게 주는 처절한 교훈이라는 포스팅에서 미국 미디어 산업의 위기에 대해 다룬 바 있는데 인력감축이나 비용 절감으로는 도저히 해결되지 않아 올해 들어서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1면 광고 게재를 단행한 것이다. 경기 침체의 여파가 뉴욕 타임즈의 코를 꺾은 것이다. 뉴스의 신뢰성을 위해 1면 광고 게재하지 않던 뉴욕타임즈가 자존심을 버린 것이다. 별도 기사를 통해 독자의 양해를 구하고 1면 하..

Media 2.0 2009.01.08 11:35
미국 신문의 붕괴가 우리에게 주는 처절한 교훈

미국 신문 대기업의 연이은 파산 소식이 심상치 않다. 지난 8일 160년 역사의 시카고 트리뷴과 로스엔젤레스 타임즈가 법원에 파산 보호 신청을 한데 이어 매클라티도 광고수입 감소와 늘어나는 부채 부담을 이기지 못해 주요 신문인 마이애미 헤럴드를 매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 신문 재벌들은 심각한 경영난 타개를 위해 일부의 경우 종이 신문을 완전히 포기하고 웹 기반으로 이동하는가 하면 월스트리트 저널과 워싱턴 ..

Media 2.0 2008.12.16 13:01
경제 신문사의 속보 경쟁 가열

포털에서 뉴스를 공급하는 미디어들의 우열이 크게 중요하지 않게 되면서 신문사들의 속보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기사의 질보다는 누가 먼저 보도했는가가 중요해지고 사실의 확인보다는 먼저 질러보자는 주의가 확산되는 것 같다. 신문사의 데스크가 포털 뉴스에 잘 먹히는 기사를 요구한다니 정말 할 말이 없다. 특히나 그간 매일경제, 한국경제와 같은 인쇄 매체의 경제신문사들과 머니투데이, 이데일리와 같은 온라인 주가정보..

Media 2.0 2008.11.27 23:52
한국의 미디어 산업, 돌파구는 있는가?

지난 주 발표된 삼성경제연구원 CEO Information "인터넷과 미디어 산업의 재편"이라는 리포트 하나를 소개한다.(우리 팀장님 책상위에서 발견 ^^;) 최근 경기 침체의 직격탄 중 하나는 언론사가 아닌가 싶다. 기업들은 죽는 소리를 하며 광고를 기피하고 들리는 소리로 올해 광고 매출이 40% 급감하면서 위기의식이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라고 한다. 게다가 올해는 조중동 광고 불매 운동으로 인해 상반기 광고매출은 반..

Media 2.0 2008.11.24 12:49
진짜 블로그와 가짜 블로그를 구별하는 방법

한국에서도 블로그 사용 인구가 점점 증가하면서 블로그를 단순히 광고의 툴로 인식하는 현상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블로그라는 툴이 다양한 광고 미디어 속에 편입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단순한 '광고판'쯤으로 인식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블로그는 돈만 주면 글을 써주는 '광고판'이 아니라 기업과 고객간 직접적인 상호 대화를 위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여타 미디어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블로그를 마케팅의 ..

Media 2.0 2008.11.17 09:12
미디어 블로거와 알바 블로거의 차이점

현재 한국의 블로고스피어를 구성하는 사람들은 딱 세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콘텐츠 생산자인 블로거들은 수익을 창출해 줄 스폰서를 기다리고, 생산자들은 그들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해 줄 블로거를 찾고 있지만 둘의 만남은 견우와 직녀처럼 쉽게 이뤄지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에서 둘 사이의 서먹한(?) 사이를 중재해 줄 중간자의 역할을 하려고 하는 각종 블로그 미디어 산업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하다.  생산..

Media 2.0 2008.11.05 14:33
블로그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다섯가지 방법

기업에서 블로그를 관리할 때에는 재미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정량적인 척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에서 이러한 정량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곳은 메타 블로그의 블로그 영향력 지수가 있고, 그밖에 각종 블로그에서 선정하는 우수 블로그나 TOP 100 순위, RSS구독자수 등을 참고로 활용하기도 한다.   블로그 얌에서는 개인 블로그를 대상으로 내 블로그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해주고 활동 유형이나 활동 현황을 한 눈에 ..

Media 2.0 2008.10.07 19:54
언론사닷컴, 블로그 히어로즈가 될 수 있을까?

언론사들이 블로그를 미디어로 인식하는 것일까?  최진순 기자의 2004년도 글 언론사 블로그 서비스 논쟁의 글을 보면 그때만 하더라도 모든 신문가들이 블로그에 대해 부정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 언론사 대부분의 자신들의 블로그를 개설하고 기자 개인의 홈페이지나 블로그들까지 모두 포용하면서 블로그 활성화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이번달 랭키 닷컴 뉴스 > 언론사 > 블로그 순위를 살펴보면 ..

Media 2.0 2008.10.06 08:51
네이버에는 파워 블로그가 살고 있는가

네이버 블로그 홈을 개편하고 지난 8월 12일 네이버 블로거 외 설치 블로거들을 모두 초청하여 간담회를 열었다. 요즘 블로거 간담회가 정말 유행이긴 한가보다. 시즌 2 개편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블로그 홈 개편한 것이 뭐 그리 뉴스 꺼리인지 몰라도 폐쇄성으로 지탄을 받아온 네이버가 대화 채널을 열고 대화를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가상하기는 하다. 그들이 내놓은 '야심찬 무기'를 살펴보면, 투데이토픽, 이웃 새글 보기, 주제별 글보기, 파워블로거 소개..

Media 2.0 2008.09.11 07:14
블로그하는 기자들은 기자인가 블로거인가

오늘은 블로그와 같은 오픈커뮤니케이션 활성화로 인한 PR 패러다임의 변화와 온라인에서 활약하는 글발 있는 기자들의 블로그들을 소개합니다.이제 블로그는 PR영역에도 새로운 화두 블로그가 처음에는 요리, 사진, 영화, 신변 잡기에 머물던 것이 최근에는 특정 전문 분야의 깊이 있는 소견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명 '파워 블러거'들이 약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IT 기업들은 기자석과 블로거석을 동일하게 마련해 신제품 발표회에 귀하신 몸을 모시고 있다고 합니..

Media 2.0 2008.09.02 17:29
웹에서 신문 뉴스를 시청하는 시대

평소 PR 2.0분야에 관심을 갖고 의욕적으로 임하는 PR 대행사로 눈여겨보고 있는 피알원(PR ONE)에서 발행하는 뉴스레터가 날아들었다. 다소 광고성 기사이긴 하지만 전체적으로 최근의 PR 2.0 관련 환경과 관련 글들을 잘 조합하여  정리해 놓은 것 같아 공유한다.  → 뉴스레터 보기촛불 시외 이후 언론의 판도가 확실히 바뀌고 있고, 1인 미디어라고 하는 블로거들이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신문사들은 독자들의 보는 욕구..

Media 2.0 2008.07.11 08:52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미도리의 블로그 사용 설..
  • 블로그 10문 10답 릴레이
  • 미도리식 자기 소개
최근에 올라온 글
  • 곤지암 리조트 스키장을 알..
  • 미도리의 온라인 브랜딩 20..
  • 연말 모임하기 좋은 내 취..
  • [청담 브런치] 감각적인 취..
최근에 달린 댓글
  • 이탈리아의 전설의 여기자 오..
  • 담백하고 알찬 소개! 최고!!
  • 인테리어도 한번 빠져들면 빠..
  • 부자피자랑 분짜라붐은 엄청..
Total
7,532,269
Today
31
Yesterday
431
링크
  • [BF]Bong's Studio
  • [BP]짠이아빠의 세상사는 이야기
  • [BP]PAPERon.Net
  • [BP]레이토피아
  • [PR]Communications as Ikor
  • [PR]최진순 기자의 온라인 저..
  • [BF]page modern
  • [BF]Greenday on the road
  • [BP]꼬맹거북's SEO
  • [BB]LG전자 블로그
  • [PR]Interactive Dialogue & P..
TAG
  • 트위터
  • 기업 블로그
  • 가을
  • Contax G2
  • 영화
  • 블로거
  • 추천도서
  • 브런치
  • Lomo
  • 휴가
  • LG전자
  • 책
  • 일상
  • 여의도 맛집
  • 여행
  • 사진
  • 책 리뷰
  • Lomo Lc-a
  • 로모
  • 블로그
  • 소셜 미디어
  • 알랭 드 보통
  • 페이스북
  • PR 2.0
  • 무라카미 하루키
  • 비즈니스 블로그
  • 소셜미디어
  • 홍대
  • 맛집
  • 가족여행
more
«   2018/04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 2018/01 (2)
  • 2017/12 (3)
  • 2017/11 (3)
  • 2017/10 (1)
  • 2017/09 (3)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 툴바

Tistory
로그인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